-
전기공학 - 대지저항 저감법시설이야기 2024. 6. 13. 20:46반응형
1 . 대지저항 저감법
① 접지란 어떠한 전기적인 대상물을 전기적으로
대지에 낮은 저항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상전류
발생 시 대지로 방류시켜 인축 및 설비에 악영향
을 방지하는 설비이다.
② 낮은 저항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접지선,
접지극, 토양의 저항등 파악이 중요하다.
2 . 물리적인 저감방법
⑴ 수펑공법
① 접지동봉 공법
매설깊이를 깊게 하고, 접지동봉 치수확대, 병
렬접속하여 접지저항을 저감 한다.
② 매설지선 공법
접지극의 길이를 길게 하는 공법으로 일반적
30m 전후가 저감효과 크다.
③ 평판접지 공법
매설 시 표면 저항값의 증가에 주의하여야 하
며 직렬시공이 효과적이다.
④ 대상전극 공법
매설지선 공법과 도전성 저감재료로 도포하여
접지저항을 낮추는 방법이다.
⑤ 다중접지 시트
가볍고 유연성이 좋아서 토양에 적응하기 쉽고
접촉저항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.
⑥ 메시공법
나동선 50 mm² 이상을 그물 모양으로 한 것으로
대규모 발전소, IBM 빌딩에 적용한다.
⑵ 수직공법
① 시공깊이는 1 공당 암반 지층이 발견되는 시점
까지 파도록 하면 보링의 직경은 100~200mm 정
도로 한다.
② 전극의 설치는 접지봉 2~3개를 나동선과 연결
하거나 미리 성형한 고강도 접지봉을 구멍에 넣
은 후 빈 공간에 히아퍼스를 물과 혼합하여 흘려
넣는다.
③ 시공부지가 협소하거나 대지의 고유저항이
높은 경우에 시공한다.
3 . 화학적 저감법
⑴ 조건
① 저감효과가 영구적일 것
② 접지극이 부식이 없을 것
③ 공해가 없을 것
④ 경제적이고 공법이 용이할 것
⑵ 종류
① 비반응형 저감제
화학적 전해질 물질을 접지전극 주변 토양에 주
입하고 치환하여 대지저항을 저감 하는 방법이다.
② 반응형 저감제
화학처리재를 사용하여 저감하는 방법이다.
처리재로는 하이트아스론, 티코겔등이다.
③ 저감제 주입법
고유저항을 화학적으로 저감하는 방법이다.
도량주입법, 흘림법, 압력주입법이 있다.
반응형'시설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공학 - 리튬이온전지 저장장치(ESS) (0) 2024.06.17 소방학 - 수평력 과 세장비 (1) 2024.06.14 전기공학 - 누설동축케이블(LCC) (1) 2024.06.13 가치공학 - 건설사업관리(CM) (0) 2024.06.12 가치공학 - 가치분석(VE) (0) 2024.06.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