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전기공학 - 누설동축케이블(LCC)시설이야기 2024. 6. 13. 20:08반응형
1 . 누설동축케이블(LCC)
Leakage Coaxial Cable
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
슬롯(홈)을 만들어 미약한 전파를 발생시키게 한
케이블이다.
② 터널 내의 자동차, 전화 서포트등 서비스 영역
이 선형으로 되어 있는 이동통신 안테나로 이용
된다.
2 . 손실 종류
⑴ 전송손실
①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신호가 전달되면서
신호 입력단에서 멀어질수록 신호의 세력이 감
쇄되는 양을 말한다.
② 케이블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전송손실이
증가한다.
③ 전송손실은 주파수가 높을수록 증가하고
요인은 표피효과, 근접효과, 와류손실이 있다
④ 누설동축케이블 전송손실 = 도체손실 +
절연체 손실 + 복사 손실
⑵ 결합손실
① 누설동축케이블의 내부전력이 수신기에 입
력되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감쇄이다.
② 결합손실은 기후, 기온, slot 크기와 각도에
의해 영향받는다.
③ 결합손실과 전송손실은 반비레 관계에 있다.
3 . 등급법(Grading)
⑴ 케이블의 전송손실에 의한 수신 레벨의 저하
폭을 적게 하기 위하여 결합손실의 다른 누설동
축케이블을 단계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말한다.
⑵ Grading 방법
① A구간에서 전송손실이 제일 작고 결합손실
이 제일 큰 케이블을 포설한다.
② B구간에는 전송손실과 결합손실이 A구간
보다 크고 C구간보다 작게 한다.
③ C구간에는 전송손실이 제일 크고 결합손실
이 제일 작은 케이블을 포설한다.
④ 처음의 신호레벨과 말단에서의 신호레벨이
차이가 없게 된다.
4 . 손실의 측정방법
① 다이폴 안테나를 이용하여 누설동축케이블
과 다이폴 안테나 간 1.5m 간격을 유지하여 측정
② 누설동축케이블로 전압 및 전력을 입력한다.
③ 다이폴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압 및 전력을
확인한다.
반응형'시설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방학 - 수평력 과 세장비 (1) 2024.06.14 전기공학 - 대지저항 저감법 (0) 2024.06.13 가치공학 - 건설사업관리(CM) (0) 2024.06.12 가치공학 - 가치분석(VE) (0) 2024.06.12 소방학 - 연기전파(Back Layering) (0) 2024.06.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