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가치공학 - 실적공사비 예가산정 절차
    시설이야기 2024. 8. 29. 19:28
    반응형

     1 . 실적공사비 예가산정 절차

    1) 건설사업 수행과정에서 적산은 설계과정
    에서 각종 대안을 공사비 측면에서 비교 분
    석하고 최적 설계대안을 선정하기 위해서 활
    용된다.
    2) 적산은 공사비를 예측 분석하여 공사 수행
    과정에서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
    점을 미리 파악하여 대처하는데 의의가 있다.
    3) 건설사업 수행과정에서 코스트 산정기법
    은 특정사업단계에서 획득 가능한 정보의 유
    형과 양에 따라 결정되며 설계가 진행될수록
    보다 구체적인 항목에 대한 공사비 적산이 이
    루어진다.

     

     2 . 예가산정 절차 및 데이터 형태

     

    1) 예가산정찰차

    기획단계 ㅡ> 기본설계단계 ㅡ> 상세설계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계약단계

    2) 데이터 형태

    ⓐ 기능 단위당 단가

    ⓑ 설계요소별 단위 면적당 단가

    ⓒ 대공종, 중공종단가, 내역항목 단가

    3) 목적

    ⓐ 예산 확보 및 책정

    ⓑ 코스트 계획 및 검토

    ⓒ 예가 산정 및 코스트 관리

     

     3  각 단계별 공사비 형태

     

    1) 기획단계에서 총공사비에 대한 방향성을 

    제공하는 개략적인 코스트 정보가 필요하다

    2) 설계단계에서는 기능 또는 부위 등 설계

    내용과 유효하게 연계될 수 있는 코스트 정

    보를 필요로 한다.

    3) 입찰, 계약 및 시공단계에서는 공종별 물

    량 및 시방과 관련 코스트 정보가 필요하다.

    4) 이에 단계별 목표한 구조물이 구체화되면

    서 요구되는 공사비 자료의 상세도도 서로 

    상이하게 되며 이에 따른 데이터의 형태도

    다양하게 표현된다.

     

     

     4  실적공사비 예가산정 근거

     

    1) 실적공사비 데이터는 그 축적의 단계에

    서 시공업체가 제출한 내역서를 자료원으로

    하는데 건설사업의 특성상 동일한 공종이라

    도 각 자료는 상이한 분포를 보이게 된다.

    2) 실적공사비 데이터는 다양한 분포 형태의

    내역서가 존재하여야만 하는 비독립적인 자

    료인 것이다.

    3) 사업특성에 따라 대표단가를 보정하기 위

    한 보정계수가 사용될 수 있다.

    4) 보정계수도 내역서를 근간으로 축적된 자

    료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산정되므로 내

    역서에 종속적인 비독립 데이터의 성격을 지

    니고 있다.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