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가치공학 - 실적공사비 예가산정 절차시설이야기 2024. 8. 29. 19:28반응형
1 . 실적공사비 예가산정 절차
1) 건설사업 수행과정에서 적산은 설계과정에서 각종 대안을 공사비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고 최적 설계대안을 선정하기 위해서 활용된다.2) 적산은 공사비를 예측 분석하여 공사 수행과정에서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미리 파악하여 대처하는데 의의가 있다.3) 건설사업 수행과정에서 코스트 산정기법은 특정사업단계에서 획득 가능한 정보의 유형과 양에 따라 결정되며 설계가 진행될수록보다 구체적인 항목에 대한 공사비 적산이 이루어진다.2 . 예가산정 절차 및 데이터 형태
1) 예가산정찰차
기획단계 ㅡ> 기본설계단계 ㅡ> 상세설계
계약단계
2) 데이터 형태
ⓐ 기능 단위당 단가
ⓑ 설계요소별 단위 면적당 단가
ⓒ 대공종, 중공종단가, 내역항목 단가
3) 목적
ⓐ 예산 확보 및 책정
ⓑ 코스트 계획 및 검토
ⓒ 예가 산정 및 코스트 관리
3 . 각 단계별 공사비 형태
1) 기획단계에서 총공사비에 대한 방향성을
제공하는 개략적인 코스트 정보가 필요하다
2) 설계단계에서는 기능 또는 부위 등 설계
내용과 유효하게 연계될 수 있는 코스트 정
보를 필요로 한다.
3) 입찰, 계약 및 시공단계에서는 공종별 물
량 및 시방과 관련 코스트 정보가 필요하다.
4) 이에 단계별 목표한 구조물이 구체화되면
서 요구되는 공사비 자료의 상세도도 서로
상이하게 되며 이에 따른 데이터의 형태도
다양하게 표현된다.
4 . 실적공사비 예가산정 근거
1) 실적공사비 데이터는 그 축적의 단계에
서 시공업체가 제출한 내역서를 자료원으로
하는데 건설사업의 특성상 동일한 공종이라
도 각 자료는 상이한 분포를 보이게 된다.
2) 실적공사비 데이터는 다양한 분포 형태의
내역서가 존재하여야만 하는 비독립적인 자
료인 것이다.
3) 사업특성에 따라 대표단가를 보정하기 위
한 보정계수가 사용될 수 있다.
4) 보정계수도 내역서를 근간으로 축적된 자
료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산정되므로 내
역서에 종속적인 비독립 데이터의 성격을 지
니고 있다.
반응형'시설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치공학 -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제도(PQ) 설명 (1) 2024.09.02 가치공학 - 일괄 입찰방식(Turn Key Base)설명 (1) 2024.08.31 기계공학 - 오존층 파괴 이론 (4) 2024.08.28 기계공학 - 바이오해저드(Biohazard) 설비 설명 (1) 2024.08.27 기계공학 - 크린룸(Clean Room) 방식 (0) 2024.08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