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기계공학 - 바이오해저드(Biohazard) 설비 설명시설이야기 2024. 8. 27. 19:44반응형
1 . 미생물오염(Biohazard) 설비
(Bio Clean Room)
1) 생물학과 유전공학의 발달로 다양한 실험
과 치료, 바이오 제품의 생산이 이루어지고
있다.
2) 위험한 병원 미생물이나 미지의 유전자를
취급하는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
방지하는 설비이다.
3) 미생물 배양이나 DNA 실험실 등과 같이
위험한 미생물을 다루는 곳은 실험실 내부를
안전하게 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, 이 공기가
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다.
4) 실험실 내부를 부압으로 유지하면서 배기
는 HEPA 필터에 의해 처리하여 공기 중에 배
기한다
2 . 미생물오염 (Biohazard) 설비 적용
1) Biohazard는 감염에 의해 인간 또는 동물
이 직, 간접으로 입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
여 오염원의 확산방지를 주목적으로 한다.
2) 병원적인인 제재, 재조합 DNA, 동물, 인체
해외질병 연구, 무균 동물실험, 세균실험,
전염병동 등 바이오와 관련된 설비에 주로
적용된다.
3 . 미생물오염 (Biohazard) 설비와
부압 필요성
1) 일반 3종 환기는 대상실을 부압으로 유지
하기 위해 외부로 배기하면 되지만 위험한
병원 미생물이나 미지의 유전자를 취급하는
분야에서는 위험물질이 외기에 확산되지 않
도록 하기 위해 대상실을 부압으로 유지 하
여야 한다.
2) 배기에 포함된 실내의 위험물질의 실외로
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시설도 필요
하다.
4 . 미생물오염 (Biohazard) 설비기준
1) P1 등급
보통의 미생물 실험실 설비이다.
2) P2 등급
ⓐ Airlosol 발생이 만은 실험조작에 한하여
Class I, Class II Cabinet을 사용한다.
ⓑ Auto Clave을 설치한다.
3) P3 등급
ⓐ 실험조작은 Class I, Class II Cabinet 내
에서 실시한다.
ⓑ 동시에 열리지 않는 2중 문 또는 Airlock에
의한 외부와의 걱리 한다.
ⓒ 실험실 내 전체를 음압으로 하고 실외에서
기류를 확보한다.
4) P4 등급
ⓐ 실험조작은 Class II Cabinet 내에서 실시
한다.
ⓑ 독립한 건물 또는 다른 구역과 격리된 구획
하고 내수성 및 기밀구조로 한다.
ⓒ 기압차는 외부, Support, 실험실, Cabinet순
으로 음압 한다.
반응형'시설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치공학 - 실적공사비 예가산정 절차 (0) 2024.08.29 기계공학 - 오존층 파괴 이론 (4) 2024.08.28 기계공학 - 크린룸(Clean Room) 방식 (0) 2024.08.26 기계공학 - 초고층 건물 설비 계획 (0) 2024.08.24 기계공학 - 냉온수 배관경 결정 (1) 2024.08.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