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전기공학 - 유도전동기 기동방식시설이야기 2024. 6. 20. 20:58반응형
1 . 기동방식 선정
⑴ 전압 변동의 허용치에 대한 시동 시 전압
강하 확인
① 전동기 단자에서 허용전압 강하는 시동 시
10%, 정상시 변동 포함 15% 한도로 하는 것이
좋다.
② 시동 시의 전압강하가 허용치를 넘을 때는
감압시동하거나, 변압기 용량을 증가시키는
대책을 세운다.
⑵ 부하소요 토크에 대한 시동 시 토크확인
시동 시 조건에서 부하 토크를 알고 그것을
상회하는 토크를 발생할 수 있는 시동방식
을 선정한다.
⑶ 전동기 및 시동기의 시간내량 확인
시동기는 각각 시간내량을 갖고 있으므로 시
동 시간이 그 내량 이내인 것을 확인한다.
2 . 기동방식의 종류
⑴ 농형 유동전동기
① 직입기동
ⓐ 정격전압을 직접 가하여 기동 하는 방식
ⓑ 기동방법이 간단하다.
ⓒ 설치비가 저렴하다.
ⓓ 220V급 : 7.5HP이하
380V급 : 15HP이하
② Y-△기동
ⓐ 1차 권선을 Y접속하여 기동하고 일정시간
경과 후 △측으로 전환하여 운전하는 방식
ⓑ 기동전류가 직입전류의 1/3 적다.
ⓒ 별도의 기동장치가 필요하다.
ⓓ 전자개폐기, 릴레이 보수가 필요하다.
ⓔ 5.5~37KW 이하 중규모 전동기용도
③ 단권전압기법(기동보상기법)
ⓐ 3상 단권변압기로 정격전압의 50~80%
의 전압에서 기동하고 기동 후 전부하 속도
에 도달하면 단락 시켜 전원전압을 인가하
는 방식
ⓑ배전선에 기동에 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.
ⓒ 기동보상기 사용으로 전력 손실로 효율이
나쁘다.
ⓓ 별도의 기동장치 제작 및 유지보수가 필요
ⓔ 30KW 이상 중용량에 적용
④ 리액터 기동법
ⓐ 리액터를 고정자 권선과 직렬로 삽입하고
단자 전압을 저감 하여 시동하고 일정시간 경
과 후 리액터를 단락 하여 저전압으로 시동하
는 방식
ⓑ 리액터의 크기는 전동기 단자 전압의 정격
인 50~80% 되는 값을 선택한다.
⑤ 직렬저항법
ⓐ 직렬저항을 고정자 권선과 직렬로 삽입하
고 단자 전압을 저감 하여 시동하고 일정시간
경과 후 리액터를 단락 하여 저전압으로 시동
하는 방식
ⓑ 시동기에 저항기의 손실이 켜서 소형에
만 적용한다.
⑵ 권선형 유동전동기
① 2차 저항 기동법
ⓐ 유동전동기의 비례추이 특성을 이용한 기
동법으로 회전자 슬립형에 가변 저항을 접속
하여 저항값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추면
서 기동하는 방식
ⓑ 2차 저항으로 금속 저항기를 주로 사용하
고 대형은 액체 저항기를 사용한다.
② 2차 임피던스 기동법
ⓐ 회전자 슬립형에 고정 저항과 리액터를 병
렬로 접속하여 기동 하는 방식
ⓑ 비교적 양호한 기동이 가능하고 대형에 적
용한다.
반응형'시설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공학 - 전자파(Electro Magnetic Wave) (0) 2024.06.22 전기공학 - 스위칭 소자(Switching enty) 설명 (0) 2024.06.21 유체역학 - 유속제한 허용 관경 (0) 2024.06.19 유체역학 - Pipe Schedule Number (0) 2024.06.19 전기공학 - 발전기 정전시 작동불능 원인 (0) 2024.06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