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전기공학 - 발전기 정전시 작동불능 원인
    시설이야기 2024. 6. 18. 20:14
    반응형

   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비상전원 또는

    예비전원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하

    는 비상 발전기와 부대설비이다.

     

     1 . 발전기 작동불능 원인

     

    ⑴ UVR 계전기 설치 위치 불량

    (Under Voltage Relay) 

    시동용 부족 전압 계전기

    UVR 계전기는 변압기 1차 측 진공차단기

    에 설치되거나, 저압측 차단기인 ACB에 설

    치되어 정전에 따른 저전압 시 그 신호에 의

    해 발전기를 기동시 킨다.

    고압측 VCB 설치되는 UVR 계전기는 정

    전 시 자동으로 발전기가 가동하도록 되어 

    있으나 저압측 차단기에서 차단될 시 동작

    하지 않아 작동불능된다.

    ⑵ UVR 계전기 불량

    UVR 계전기의 고장으로 정전이 발행했는데도 

    신호를 받지 못하여 발전기 작동불능이 된다.

    ⑶ 제어라인 불량

    평상시 점검 시에는 제어라인에 따른 확인을

    하지 않고, 수동기동하여 점검하므로 문제점을

    확인할 수 없어 발전기 운전불능이 발생된다.

    ⑷고조파에 작동불능

    고조파에 의한 부하전류 상승으로 발전기의 열

    과 손실로 작동불능된다.

    ⑸ 기동부하에 작동불능

    전동기 부하등 기동부하 시 기동전류 상승에의한

    발전기 작동 불능된다.

    ⑹ 단상부에 작동불능

    단상부하의 사용은 부하 불평형이 되어 단상부

    하의 용량보다 더 많은 전원 측의 용량을 쓰는

    것과 같은 동일한 경우가 되어 작동불능이 된다.

    ⑺ 축전지 용량 부족

    축전지 용량 및 수명이 다하여 제어라인 전원,

    차단기 및 ACB 전원투입이 불가하여 작동불

    능이 된다.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