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소방학 - 내진시설 설명시설이야기 2024. 6. 11. 19:59반응형
1 . 내진설계(Seismic Desige)
① 지진에 저항할 수 있도록 건물을 설계
하는 방법으로 건물의 붕괴를 막아 인명 손
상을 막기위한 목적이 있다.
② 내진설계의 종류는 내진, 제진, 면진으로
분류할 수 있다.
③ 건축법 제48조(구조내력등)
ⓐ 건축물은 고정하중, 적재하중, 적설하중,
풍압, 지진, 그 밖의 진동 및 충격 등에 대하
여 안전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.
ⓑ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2항에 따른 구조
안전 확인 대상 건축물에 대하여 허가등을
하는 경우 내진 성능 확보 여부를 확인 하
여야 한다.
2 . 내진 설계 대상
① 층수가 2층 이상 건축물
② 연면적 200m²이상 건축물
③ 높이 13m 이상 건축물
3 . 내진 설계 분류
⑴ 내진
① 지진이 발생하여도 건축물 구조 전체나
내부 시설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튼튼하게
건설하는 것을 말한다.
② 건축물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의 내진벽
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여 강한 흔들림에도
붕괴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.
③ 보통 건물보다 흔들림이 적다.
⑵ 제진
① 다양한 종류의 제진장치를 이용하여 지진
에너지를 내부 시설에서 낮추는 방법이다.
② 지진이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건물의 진동
하게 되는데 제진장치가 건물의 강성, 감쇠
드에 제어하여 패해를 줄이는 방법이다.
③ 흔들림을 30~50% 감소시킨다.
⑶ 면진
① 지반과 건축물을 분리하여 지진력의 전달
을 감소하는 방법이다.
② 분리방법으로 적층 고무 베어링, 고무 블록
등을 지면과 건축물 사이에 배치하여 진행하
는 방법이 있다.
③ 지반이 흔들림이 면진장치를 통하여 완화되
어 비교적 안전한 방법이다.
④ 흔들림을 대폭 감소시킨다.
4 . 내진 설계 종류
① 슬로싱 : 물이 담겨있는 용기의 경계를 때리
현상을 이용 지진 발생으로 수면이 출렁거린다.
② 방파판 : 물의 출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
수조 내부에 구획하여 물의 슬로싱을 낮추는 것
③ 지진 분리 이음
④ 지진 분리 장치
반응형'시설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치공학 - 가치분석(VE) (0) 2024.06.12 소방학 - 연기전파(Back Layering) (0) 2024.06.11 위험성이론 - 위험의 표현방법 (1) 2024.06.10 위험성이론 - 위험성 분석절차(CPQRA) (1) 2024.06.10 위험성이론 - Hazard & Risk (0) 2024.06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