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전기공학 - 고조파(Harmonic)시설이야기 2024. 6. 26. 19:46반응형
1 . 고조파(Harmonic)
① 기본 주파수에 대해 2배, 3배, 4배와 같이
정수의 배에 해당하는 물리적 전기량이다.
② 정수배 주파수에 의하여 기본 정현파가 파
형이 찌그러지는 왜곡된 파형이 되어 전원 측
으로 유입되어 설비에 악영향을 주는 이상현
상을 말한다.
③ 변환장치특성, 자려변환장치, 정지전력 변
환장치의 고조파 억제와 무효전력보상 용어
2 . 고조파 발생 및 원인
⑴ 발생과정
① 상용주파수인 정현파 전류를 전원에서
공급하는 것에 비하여 부하가 방형파 전류
를 필요로 하게 된다.
② 사인파와 방형파의 차이에 상당하는 전
류가 전원 측으로 흘러들어 전원측 정현파와
합성되어 고조파 전류의 형태를 만들게 되
는 것이다.
⑵ 발생원인
① 고조파 전류의 발생은 대부분 전력 전자
소자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발생한다.
ⓐ 전원임피던스가 콘덴서 임피던스보다
크면 고조파 전류는 콘데서로 유입된다.
ⓑ 전원임피던스보다 콘데서 임피던스가
크면 고조파 전류는 전원으로 유입된다.
② 발생원
ⓐ 변환장치(인버터, 컨버터, UPS, CVCF,
정류기, VVVF)
ⓑ 아크로, 전기로
ⓒ 형광등
ⓒ 회전기기
ⓓ 변압기, 과도현상에 의한 것 등
3 . 고조파 방지
⑴ 변환기의 다펄스화
① 고조파 전류 억제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
으로 변압기 대수 증가, 사이리스터 소자수
증가로 설치공간과 비용증가 한다.
② 다른 고조파 대책과 종합적 검토가 필요
하다.
⑵ 단락용량 증대
① 임피던스가 상승하면 단락용량이 감소
하여 고조파 성분이 증가한다.
② 임피던스가 낮으면 단락용량이 증대
하여 고조파 성분이 감소한다.
⑶ 기기용량 선정
① 고조파 부하가 많을 경우 중첩, 표피효
과에 전력이 증가하여 손실이 증가한다.
② 변압기 용량을 2~5배 증가하여 선정
고조파 영향에 대하여 변압기가 과열 없이
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.
③고조파 등가 역상전류에 의한 발전기
용량 추가 후 선정한다.
⑷ 교류 리액터 설치
3 고조파 공진 리액터를 설치한다.
⑸ 고조파 필터 설치
① 수동필터 설치
ⓐ 부하단 근처에 저임피던스 회로를 설
치하여 고조파 전류가 회로에 흡수되게
한다.
ⓑ 부하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종류 및 크
기를 측정하여 차수별 Passive Filter를
설치한다.
② 능동필터 설치
부하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전류의 크기
및 차수를 검출하여 역고조파를 발생시켜
상호 상쇄시킨다.
② 변압기 용량을 2~5배 증가하여 선정
고조파 영향에 대하여 변압기가 과열 없이
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.
③고조파 등가 역상전류에 의한 발전기
용량 추가 후 선정한다.
반응형'시설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공학 - 특성임피던스와 정합 설명 (0) 2024.06.28 전기공학 - 아크 와 스파크 비교 (0) 2024.06.27 연소공학 - 반응온도 의존성 과 충돌이론 (0) 2024.06.25 연소공학 - 원자의 에너지 흡수와 방사 (1) 2024.06.25 연소공학 - 소염거리(Quenching Distence) (0) 2024.06.24